“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 3·1절을 앞두고 중국 하얼빈에서 애국가를 들으니 가슴이 뭉클해졌다. 일제강점기 시절 만주벌판을 떠돌던 우리 동포들이 스코틀랜드 민요 올드랭사인(Auld Lang Syne)에 맞춰 부르던 곡조 그대로였다.
구슬프면서도 애잔함이 가득 묻어나는 애국가를 취재팀에게 들려준 사람은 안중근(安重根) 의사의 조카며느리인 안로길(97) 할머니다. 안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사살한 지 100주년이 되는 올해, 그 역사적인 현장인 하얼빈에 아직도 안 의사의 피붙이가 살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나선 터였다. 할머니를 만난 곳은 흑룡강성 하얼빈시 중심지역인 난강구(南崗區)의 한 아파트였다. 할머니는 혼자 방안을 걸어다닐 정도로 정정했지만 대화를 제대로 나누기는 어려운 상태였다. 옛일을 띄엄띄엄 회고하다가도 한참 동안 한국말과 중국말을 섞어가며 뭔가를 중얼거렸고, 이 같은 행동이 몇 차례나 되풀이됐다. 기자가 안 의사에 대해 물어보니 그 말만은 또렷하고 분명한 어투로 답했다. 안 의사는 "셋째 할아버지의 아들"이라며 자랑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할머니는 안 의사 사촌인 홍근(洪根)의 막내아들 무생(武生)의 부인으로, 안 의사에게는 5촌 조카 며느리(당질부)가 된다. 할머니는 방에 걸려있는 안 의사 사진을 떼내 손으로 쓰다듬으며 "왜 이리 눈물이 나는지 몰라" 하며 눈시울을 훔쳤고 장롱 속 깊이 놓아둔 안 의사 관련 자료를 꺼내 보여주기도 했다. “일본사람들이 우리 동포를 수없이 죽였어. (안 의사는) 우리 동포를 살리려고 도둑질하러 온 그 흉적을 없앴어.” 할머니는 안 의사에 대해 "(다재다능하다는 뜻으로) 박사였다"는 말도 했다. 이틀 동안 할머니를 만나면서 '어떻게 이렇게 살았을까' 싶을 정도로 모진 고생을 한 분임을 알게 됐다. 고향 황해도에서 만주로 이주, 17세 때 결혼했고 1945년 하얼빈의 북쪽인 흑룡강성 해북진에서 남편을 잃고 홀로 살았다. 이때 동포 손에 억울하게 죽은 남편을 위해 차(車)씨였던 성(姓)을 안씨로 바꿨다고 한다. 1958년 천주교를 믿은 죄로 '정치범'으로 분류돼 중국 감옥에 40년이나 갇혀 있었다. 이곳에서 양로원을 운영하면서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최선옥(72·전 성모자애병원 원장) 수녀는 “9년 전 할머니를 처음 만났는데 감옥에서 나와 갈 곳이 없어 이곳저곳 전전하고 계셨다"면서 "그때는 치매가 심했고 몸도 약했는데 요즘 많이 좋아졌다”고 했다. 최 수녀는 할머니가 돌아가실 때까지 돌볼 계획이라고 했다. 평소 할머니가 열중하는 것은 태극기를 만드는 일이다. 틈나는 대로 바느질을 해 하얀 천에 태극과 건이감곤을 새겼다. 비록 태극과 건이감곤의 위치가 맞지 않고 훌륭한 작품이 아닐지 모르지만 할머니의 정성은 놀라울 정도였다. 감옥에 있을 때는 자신의 치마 저고리에서 한올 한올 실을 뽑아 태극기를 만들어 속옷 깊숙이 감춰놓았다 고향 생각, 조국 생각이 날때마다 펼쳐보곤 했다고 한다. 그 사연 많은 태극기는 경기도 여주에 있는 '옹기동산 청학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할머니의 몸은 21세기에 있지만 의식과 사고는 아직도 일제강점기 시절 동포들이 그토록 바라던 '대한독립'에 맞춰져 있었다. 나라 잃은 백성의 슬픔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할머니의 기나긴 투쟁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매일신문 중국 하얼빈에서 박병선 기자 lala@msnet.co.kr [출처:조글미디어 media.zoglo.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