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안중근 장군 동상 표준형이 필요하다
동상마다 형상 모습 크게 달라,,, 사진도 각각 달라
 
단지12 닷컴   기사입력  2008/09/25 [00:41]
▲   1909년 10월 26일 중국 하얼빈 역에서의 의거직후 모습으로 알려진 안중근 장군 사진  ©단지12 닷컴
▲  쇠줄로 묶여있는 안중근 장군 사진으로 하얼빈에서  심문 중  모습 ©단지12 닷컴
▲  복장과 쇠줄은 동일하지만 위의 사진과도 표정이 크게 다르다.   ©단지12 닷컴
 

▲   의자에 앉아 있는 사진으로 수잠생활을 했던 여순감옥으로 추정된다.  ©단지12 닷컴
▲   안중근 장군의 왼손단지 모습이 선명하게 보이는 안중근 장군 모습  ©단지12 닷컴
▲  여순 감옥에서 정근 공근 동생들과 면회하는 모습으로 순국직전인 1910년 3월의  안중근 장군  ©단지12 닷컴
▲  손이 뒤로 묶여있는 이 사진이 현재 안중근 장군의 표준영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사진 역시 의거현장인 하얼빈으로 보인다.   ©단지12 닷컴
▲   1959년 서울 남산에 세워진 최초의 안중근 장군 동상  © 단지12 닷컴
▲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 개관과 함께 독립기념관 내부에 전시된 안중근 장군 동상  © 단지12 닷컴
 
 
 
 
 
 
 
 
 
 
 
 
 
 
 
 
 
 
 
 
 
 
 
 
 

 
▲  2006년 1월 중국 하얼빈 쇼핑거리에 세워졌다가  중국 당국에 의해 철거당한 동상   © 단지12 닷컴

 
 
 
 
 
 
 
 
 
 
 
 
 
 
 
 
 
 
 
 
 
 
 
 

 
▲   광주에 있는 안중근 의사 동상  © 단지12 닷컴


▲   서울 남산 안중근기념관 내부에 전시된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 흉상  © 단지12 닷컴
▲   충북 음성의 조작공원에 돌로 조각되어 세워진 안중근 장군 흉상.   © 단지12 닷컴

 
 
 
 

 
 
 
 
 
 
 
 
 
 
 
 
 
 
 
 
 
 
 
 
안중근 장군 동상은 표준형이 없는 상태로 서울 남산에 1959년에 세워진 최초 동상과 천안 독립기념관 개관 당시 만들어져 현재 내부에 전시되고있는 동상, 그리고 2006년 1월 재중 한인사업가에 의해 하얼빈 시내 쇼핑거리에 세워졌다가 철거된 동상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모든 동상에서의 안중근 장군 모습은 다르다. 따라서 2009년, 안중근 장군 하얼빈 의거 100주년을 기해 안중근 장군 동상의 표준형이 요구되고 있다.<단지>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08/09/25 [00:41]   ⓒ 안중근청년아카데미
 
  • 도배방지 이미지